
근대서양의학과 한방의학은 어떠한 점에 차이가 있을까
이 책은 한방의 치료의학으로서의 우수함을 모든 관점에서 구체적인 실례를 들어서 해명하고, 또 풍부한 치료 예를 실어서 실제의 효과에서도 그 특질을 분명하게 했다.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실례로 보여주는 것도 또한 한방의 특질의 하나이다.
한방의 특질
ISBN 978-89-7044-189-4
발행일 1998년 1월 25일
238쪽
1900년 다카시(高知)시에서 출생.
1923년 구마모토의전(熊本{醫專) 졸업.
1929년 유모토 큐우신(場本{求眞)에게 사사하여 한방의학을 배웠다. 1931년부터 한방 전문의로서 개업한 이래 한방 부흥의 선구적 활동을 계속하고, 1950년 동지와 함께 일본동양의학회(日本東洋醫學會)를 창립했다. 동 학회 이사, 평의원, 회장,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또 1974년 사단법인 기타사토(北里)연구소 부속 동양의학종합연구소 설립과 함께 초대 소장에 취임했다. 1978년부터는 재단법인 일본한방의학연구소(日本漢方醫學硏究所) 이사장을 겸임하고, 명실공히 오늘날 한방 융흥의 기초를 쌓았다. 그 공적으로 1978년 일본의 사회 최고유공상 수상 1980년 10월 15일에 사망했다.
1983년 경희대학교 한의학대학 졸업.
1984~85년 일본 이와테 의과대학 약리학교실에서 전공생으로 유학.
1994년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한의학박사학위 취득.
1997년 경산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주임.
1988년 대구한의대학교 졸업
1994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학박사학위 취득
1994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전임강사
2003~2004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겸임연구원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서문에 대신하여
제Ⅰ편
1. 서두에
2. 치료의학으로서 한방의 우수함
3. 한방약과 민간약, 한방약의 성분
4. 처방의 특질과 구성
1) 근대의학 처방과 한의학 처방의 차이
2) 처방의 구성과 그 명명법
3) 감초탕(납草場)을 예로 들어 약효를 생각한다
4) 감초를 예로 들어 조합 상대가 되는 약에 따라 약효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서술한다
5. 진단과 치료
1) 증에 따라 치료한다고 하는 것
2) 증과 그 구성
3) 증의 진단과 수증치료(隨證治標)의 실례
4) 복진법의 실례
5) 계절과 밤낮의 구별도 고려하여 치료법을 생각한다
6) 명현(瞑眩)의 실례
제Ⅱ편
l 수증치료(隨證治爆)와 병명치료(病名治樓)
- 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악성빈혈을 예로 든다 -
2 같은 병이라도 개인차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진다
- 알레르기(allergy) 성 비염을 예로 -
3. 국소의 병도 전신의 부조화로부터
- 눈꺼풀 경련, 안변경련, 축농증을 예로 -
4. 만병(萬病)의 뿌리가 배에 있다
- 중요한 복증(腹證) 예 -
5. 고방(古方)의 오묘함
자궁근종, 자궁암, 뱃속에 두고 잊어버린 지혈집게 -
6. 치료 상대는 살아 있는 환자
- 고혈압증을 예로 -
7. 전체요법
기관지천식, 야뇨증, 치질출혈, 통상을 예로
8. 심신(心身)이 하나와 같다는 입장
9. 약은 살아 있다
10. 편한 것이 좋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 불면증을 예로 -
11. 술(術)과 학(學)
제Ⅲ편
(1)~(62)
부록 처방집(處方集)
ISBN 978-89-7044-783-4
발행일 2017년 11월 20일
가격 20000원